본문 바로가기
교육 과정/중학교

중학교 학생기록부 알아보기-2 (창의적체험활동, 교과학습발달상황)

by 어썸쉬라 2023. 2. 10.
반응형

이 글에서는 학생기록부 기재사항 중 선택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1. 창의적체험활동상황 + 봉사활동실적

2. 교과학습발달상황

 

▷ 학생기록부 기재사항 중 필수사항이 궁금하시다면?

1. 창의적체험활동상황

혹시 자동봉진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?

자동봉진이란!  창의적체험활동에 기입되는 자율활동, 동아리활동, 진로활동과 함께 봉사활동을 함께 부르는 말입니다.

교내활동이 많은 학교의 경우는 쓸 내용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학생 스스로 찾아내야 하기도 합니다.

혹은, 담임 혹은 교과 선생님께서 생기부 기재 활동에 대해서 언급해주시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달 사항을 놓치지 않고 잘 듣도록 합니다.

 

★ 자율활동에 임원 활동(학급회장 등) 기재 가능. 대회 아닌 교내 행사 중 기재 가능한 항목 점검하기

★ 동아리의 경우 마음에 드는 동아리가 없을 때는 학기 초 자율동아리 구성 가능. 학년 당 1개만.

★ 선생님께서 생기부에 기록 가능한 행사 등을 알려주시는 것 놓치지 않기

1-1. 봉사활동 실적

 

봉사활동실적  예시 (출처:나무위키)

코로나 이전에는 중학교 3년간 총 60시간을 채워야 했었지만 코로나 이후 교육청 발표에 따르면 15시간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하지만 이 또한 변경 가능할 수 있으므로 중학교 입학 후 꼭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.

 

2. 교과학습발달상황

1학년은 자유학기제 혹은 자유학기제 기간 동안은 Pass의 의미인 P로 표시됩니다. 

성취도 여부가 기재되는 것이 아니므로 아래 세부능력 및 특기 사항(이하 세특) 내용 기입에 신경쓰면 좋습니다.

체육, 음악, 미술은 다른 과목과 분류되어 기재되고 세특도 성취도 아래에 별도 기재됩니다.

 

▷자유학기활동상황에 대해 궁금하다면?

 

 

2,3학년 혹은 평가가 있는 학기에는 아래와 같이 성취도가 기재됩니다.

 

성취도 A-E로 표시되는 절대평가 방식입니다. 

A는 90점까지, B는 80점대, C는 70점대, D는 60점대, E는 50점이하입니다.

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전교생 모두가 90점이 넘는다면 전교생 모두 A 성취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석차는 표기되지 않고 학교 측에서도 석차를 알려주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

누가 전교 1등이다 2등이다 이런 말이 돌 때는 잘하는 친구들끼리 전과목 중 틀린 개수 등으로 추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평가 있는 학기도 세특, 예체능 등의 순서와 내용은 1학년과 동일합니다.

예체능은 원점수/과목 평균, 수강자 수를 제외한 성취도 A-E 만 표기가 됩니다. 

 

중학교의 평가는 지필 평가 + 수행 평가의 합산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학교와 과목 당 평가 비율을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.

 

★평가가 없는 학기 : Pass의 의미인 P로 표기

★평가가 있는 학기 :  A-E 성취도 표기, 절대 평가

★교과발달상황 : 진학희망 학교(영재고~특목고)의 성격에 따라 성취도, 원점수, 세특 공개 여부는 다 다름! 확인 필요!

 

반응형

댓글